BCG(결핵백신, Bacillus Calmette-Guérin)는 결핵을 예방하기 위해 개발된 백신으로 이 백신은 1921년에 프랑스에서 최초로 개발되었고 현재까지 많은 국가에서 결핵 예방을 위해 사용되고 있습니다. BCG는 일반적으로 경피용 BCG와 피내용 BCG로 구분되고 두 가지 방식의 BCG 백신은 적용되는 방식과 접종 부위에 차이가 있습니다.
1. 경피용 BCG
경피용 BCG는 피부에 접촉하여 백신을 접종하는 방식으로 한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BCG 접종 후 피부에 흉터가 남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런데 흉터가 크게 보이지 않습니다.
1) 경피용 BCG의 특징
접종 방법: 경피용 BCG는 주로 아기의 오른쪽 팔 상부에 피부에 직접 백신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은 백신이 피부의 표면에 흡수되도록 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합니다.
접종 후 반응: 경피용 BCG를 접종한 후 약 2주 후에 소규모의 염증성 반응을 보이는데 이는 백신이 면역 체계를 자극하여 결핵균에 대한 면역력을 형성하는 과정입니다. 접종 부위는 처음에는 작은 발진이 생기며 이후 점차 고름을 동반한 궤양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증상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치유되고 이후 흉터가 남을 수 있습니다. 이 흉터는 결핵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간주됩니다.
효과: 경피용 BCG는 결핵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특히 결핵이 유행하는 지역에서는 BCG 접종 후 흉터를 통해 결핵 예방 효과를 줍니다. 이 백신은 결핵균에 의한 감염을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특히 어린아이들 사이에서 결핵 예방 효과가 큽니다.
2)경피용 BCG의 장점
효과적 예방: 결핵이 유행하는 지역에서는 매우 효과적인 예방책이며 특히 어린이에게 결핵 예방 효과가 큽니다.
흉터를 통한 확인: 경피용 BCG 접종 후 흉터가 남는데 접종 여부와 백신의 효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3)경피용 BCG의 단점
흉터: 일부 부모들은 아기의 피부에 남는 흉터를 불편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흉터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지거나 미미하게 남습니다.
부작용: 가끔 경피용 BCG 접종 후에 감염이나 피부 반응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고 드물게 결핵성 농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피내용 BCG
피내용 BCG는 주사기로 백신을 근육이나 피부 하층에 주입하는 방식으로 이 방식은 경피용 BCG에 비해 사용 빈도가 적지만, 일부 국가에서 채택되고 있습니다.
1) 피내용 BCG의 특징
접종 방법: 피내용 BCG는 경피용 BCG와는 달리 주사기를 이용해 피부 아래나 근육에 직접 백신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이 방식은 주로 백신이 피부에 직접 흡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고 일반적으로 피하주사 형태로 주입합니다.
접종 후 반응: 피내용 BCG는 경피용 BCG와 달리 흉터를 남기지 않는 특징이 있고 접종 부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염증 반응이 경피용 BCG보다 적고 그만큼 피부에 직접적인 자극이 적습니다.
효과: 피내용 BCG도 경피용 BCG와 마찬가지로 결핵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경피용 BCG보다 예방 효과가 다소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핵 예방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2)피내용 BCG의 장점
흉터가 남지 않음: 피내용 BCG의 가장 큰 장점은 흉터가 남지 않는 것이고 경피용 BCG에서 발생하는 흉터가 불편한 경우 피내용 BCG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부작용 감소: 피내용 BCG는 경피용 BCG에 비해 부작용이 적으며 접종 후 반응도 비교적 부드럽게 나타납니다.
3)피내용 BCG의 단점
예방 효과가 다소 낮음: 피내용 BCG는 경피용 BCG보다 결핵 예방 효과가 다소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고 일부 지역에서는 경피용 BCG가 더 선호됩니다.
접종 후 확인 어려움: 피내용 BCG는 흉터가 남지 않기 때문에 접종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3. 경피용 BCG와 피내용 BCG의 비교
구분 경피용 BCG 피내용 BCG
접종 방법 |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백신 주입 | 주사기로 피하나 근육에 백신 주입 |
주요 특징 | 흉터가 남음, 피부 반응 발생 | 흉터가 남지 않음, 비교적 부드러운 반응 |
효과 | 결핵 예방에 효과적, 특히 어린이에게 유효 | 결핵 예방 효과가 있지만 경피용보다 낮음 |
단점 | 흉터가 남고, 일부 부작용 발생 가능 | 예방 효과가 경피용보다 낮고, 접종 확인이 어려움 |
경피용 BCG와 피내용 BCG는 결핵을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경피용 BCG는 주로 흉터를 남기며 피부에 직접적인 자극을 주는 방식인 반면에 피내용 BCG는 흉터 없이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방식으로 접종됩니다. 각 방식의 선택은 지역적인 요구와 의료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두 방식 모두 결핵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잘 선택하시고 아기의 건강을 지키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절별 아기 옷입히기 참고하세요!" (1) | 2025.03.15 |
---|---|
"아기 고관절 탈구 조기발견이 중요합니다!" (4) | 2025.03.14 |
"2025년 11세 12세 백신업데이트!" (2) | 2025.03.14 |
"위를 자꾸 쳐다보는 아기 사시가 될까?" (4) | 2025.03.13 |
"아기 음식이 뜨거울 때 입으로 불어서 식혀먹여될까요?" (0) | 2025.03.13 |